드론이 정확하게 비행을 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드론 비행 계획을 세울 수 있어야 한다. (너무 당연한 이야긴가..) 드론은 3차원 공간을 비행하고, 그 공간에는 전봇대, 건물, 도로, 교량 등 여러 구조물과 나무, 절벽, 산 등의 자연지형이 있다. 예를들어 비행고도 30미터로 계속 비행을 하다보면 아마 어딘가에 부딧히게 될 것이다.
위 그림처럼 오래된 성을 inspection하기 위해 드론을 날리려면, 건물을 중심으로 3차원 비행미션을 만들어야 한다. 만약 도시공간을 비행해야 하는 경우라면 더 복잡한 비행 미션을 수행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1)정확한 3차원 지도와 2)정밀한 드론의 위치확인 장치가 요구된다.
1 정확한 지도
우선, 지도는 정확할 수 없다. 정확하다는 용어가 맞지않는 분야라고 할 수 있다. 지도는 필요에 의해 만들어지는 상대적이고 추상적인 개념의 이미지라고 볼 수 있다. 그 이유에 대해서 생각해 보면, 우리가 서 있는 위치는 땅을 불규칙하고 다양한 형태의 3차원 공간(대부분 구체형태의 지구로 이해하고 있으나 사실은 아닌..)인데 이것을 이해하기 쉽게 구로 정의한 다음, 지구 회전축(자전축)을 기준으로 수직 수평 선으로 분할한(이 위도 경도도 정확한 좌표를 재현할 수 없다) 다음, 해수면(달 중력의 영향으로 계속 변화하며 또한 지구의 형상에 의한 중력의 차이로 기준을 정할 수 없는)으로부터의 높이를 통해 3차원 위치좌표(x, y, z)를 생성하게 된다.
위 그림이 첨단 측량기술로 생성된 지구의 형태모델. 위키페디아에서는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지오이드(영어: geoid)는 지구상에서 높이(해발고도)를 측정하는 기준이 되는 가상면이다. 이 면은 중력 퍼텐셜이 같은 등퍼텐셜면이고, 중력 가속도를 측정할 때 기준면이 된다. 물체는 이 면에 대해서 수직 방향의 중력을 받는다. 지오이드의 형태(즉, 위치에 따른 중력의 작용선)의 변화를 측정하면, 지표 아래에 주변과 다른 밀도를 갖는 물질의 존재를 파악할 수 있다.
지오이드는 바다에서는 평균 해수면으로 정의하고, 육지에서는 바다에서 시작하여 가상의 수로를 팠을 때, 수로의 수면으로 정의한다.
이 설명이 잘 이해가 가지 않지만, 현재 해수면 기준으로 만들어진 지구모델? 로 나는 이해했다. 다음 그림을 보면 왜 이런 모델이 필요한지 설명할 수 있다.
우리가 생각하는 지구타원체가 연두색 선이라면, 실제 지구 땅의 표면은 갈색 처럼 울퉁불퉁 하고 해수면은 그림처럼 중력이나 물의 특성 때문에 타원체와는 다른 형태가 된다. 이러한 해수면의 중력값을 기준으로 만든 지구 모델이 Geoid지오이드 모델인데, 이상적인 지구타원체 모델보다 실제 지구 표면과 비슷한 형상을 나타내게 된다.
지오이드 모델처럼 지구상의 높이를 표현한 Earth Topography 이미지를 나사에서 제공하고 있다. 구글어스에서는 이러한 높이정보를 반영한 3D 지형모델을 제공한다. (게다가 요즘 구글어스는 별도 프로그램 설치하지 않고 브라우저에서 돌아가고, 심지어 건물도 3d로 제공된다.)
위 사진은 구글어스에서 강원도 쪽 지형을 살펴본 것이다. 나무는 표현되지 않았지만 지형정보가 반영되어 산맥이 나타나고 있다.
구글어스에서 오키나와를 보면 건물들이 3D로 다 만들어져 있다. 구글어스가 정확한 지도라고는 할 수 없지만 최소한 실제와 비슷한 지형정보와 건물 정보를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우리가 알고 있는 3d photogrammetry 프로그램인 pix4dmapper에서는 프로젝트별로 임시 좌표공간을 만들고(GPS기반), 첫번째 비행 결과물을 기준으로 3D point cloud를 만들어 준다. 그리고 나서, 두번째 세번째 비행 결과를 추가로 attach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만약 pix4dmapper에서 첫번째 비행결과물 기준으로 3D 비행 미션을 생성할 수 있다면, 정확한 지도 없이도 비행계획을 세우고 (여러번의 비행을 통해), 결과물을 report할 수 있을수도 있을거란 생각을 했다.(아래그림 참조)
2 정밀한 위치확인 장치
현재 드론의 위치확인은 GPS/GNSS장치를 통해 확인하고 있다.
GPS는 지상에 설치된 기점과 위성이 통신하여 위성의 위치를 확인하고, 지상의 GPS수신장치로 위성의 좌표를 전송하여 수신기의 위치를 계산하는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지상에는 지상위성관측소가 있고, GPS위성으로 좌표를 송신하게 된다. 이 정보를 바탕으로 GPS위성은 위성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그러나 지상위성관측소에서 송신되는 좌표는 각 지역별로 기준점이 다른 측량좌표로 각각의 다른 기준의 좌표를 정확하게 일치시키는 일종의 통합좌표 같은것이 있긴 하지만 변환에 오차가 발생하게 된다. (지구반지름 계산의 차이에 따른 오차)